1. 복분자의 계절이 빨라지고 있다
고창은 ‘복분자의 고장’이라 불릴 정도로 이 작물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매년 6월 중순이 되면 고창 곳곳에서는 복분자 수확철을 맞아 검붉은 열매들이 들판을 뒤덮는다.
나 역시 매년 이맘때 고창을 방문해 복분자 농장을 둘러보곤 했는데,
올해는 유난히 수확 시기가 빨라졌다는 현장 이야기를 자주 들을 수 있었다.
2025년 6월 초, 고창군 성내면에 위치한 복분자 농장을 방문했을 때
이미 수확 작업이 절반 이상 진행된 상태였다.
예전 같으면 6월 말이나 돼야 본격적인 작업이 시작되던 시기였다.
“요즘엔 작물이 우리보다 먼저 움직여요.”
한 농부의 이 말처럼, 복분자의 성장과 수확 주기 자체가 빨라지고 있었고,
그 배경에는 단순한 농사 기술의 변화가 아니라 기후 자체의 변화가 자리하고 있었다.
2. 고창의 기온 변화가 복분자 생육을 앞당긴다
복분자는 보통 이른 봄에 새싹이 나고, 초여름에 수확하는 단기 작물로,
온도와 일조량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올해 고창의 봄 기온은 예년보다 1.4도 이상 높게 기록되었고,
3월 말부터 갑작스럽게 따뜻해진 날씨 탓에 복분자의 새순은 평년보다 2주 가까이 빨리 자라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개화 시점과 열매 맺는 시기도 자연히 앞당겨졌고,
결국 6월 초부터 수확 작업이 본격화되는 현상으로 이어졌다.
현장에서 만난 60대 복분자 농부 A씨는 이렇게 말했다.
“3월 말부터 너무 따뜻해서 새순이 올라오는 게 눈에 보일 정도였어요.
날씨가 한 템포 빨라지니까 열매도 금방 익고,
수확 시점이 10일 이상 빨라졌습니다.”
또한 기후 변화는 단순히 ‘빨라짐’만이 아니라 작물 품질에도 영향을 준다.
온도가 갑자기 상승하면 복분자가 너무 빨리 익으면서,
당도는 높아져도 과육이 무르고 수확 후 저장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통 과정에서 운반 중 손상이나 상품 가치 하락 문제가 농민들을 더욱 힘들게 만들고 있었다.
3. 수확 주기의 불일치가 만들어내는 현장 혼란
기후 변화로 인한 수확 시기 앞당김은,
단순히 일정보다 며칠 빠른 정도가 아니라 농업 전반의 시스템을 흔드는 변수가 된다.
복분자 수확은 단기간에 많은 인력이 필요한데,
수확 시기가 매년 불규칙하게 앞당겨지면서 인력 수급에 큰 어려움이 생긴다.
B씨(40대 여성 농장 운영자)는 이렇게 말했다.
“원래 6월 중순부터 아르바이트 인력을 예약해두는데,
올해는 갑자기 6월 초에 수확해야 해서 일손이 너무 부족했어요.
열매는 익어가는데, 사람이 없으니 그냥 떨어지는 열매도 많았어요.”
게다가 수확 시기가 당겨지면 시장 공급 타이밍도 꼬이게 되고,
타 지역 작물과의 출하시점 겹침으로 인해 가격 하락 가능성도 높아진다.
즉, 기후 변화는 농작물의 ‘물리적 성장’만이 아니라
유통, 가격, 노동, 수익 구조 전반에 파장을 주는 종합적인 이슈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B씨는 “복분자는 제철이 확실한 작물인데,
이렇게 불규칙해지면 재배 전략을 매년 수정해야 하고,
시설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바꿔야 해요”라며 불확실성의 피로감을 토로했다.
이는 기후 위기가 단순히 ‘더위’나 ‘비’의 문제가 아니라,
현장의 의사결정과 생존 전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다.
4. 기후 변화는 이미 우리 밭에서 시작됐다
고창의 복분자는 지역의 자부심이며,
매년 여름이면 사람들의 기대 속에 붉게 익어가는 대표 작물이다.
하지만 이제는 그 작물이 언제 익을지조차 예측이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기후 변화는 이제 뉴스를 통해서가 아니라,
한 알 한 알 손으로 따야 하는 열매의 생장 속도와 수확 시기를 바꾸고 있다.
농업은 자연과의 조율 위에서 성립되는 산업이다.
그런데 자연이 예측 불가능하게 흔들릴 때,
그 충격은 가장 먼저 농부의 손에, 땅 위에, 그리고 밥상 위에 전해진다.
복분자 수확의 변화는 어쩌면 앞으로 나타날 더 큰 변동성의 시작일지도 모른다.
우리는 지금 이 변화의 기록을 통해,
계절의 언어가 바뀌고 있다는 사실을 목격하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나는 다른 지역에서도 작물 수확의 변화를 기록할 계획이다.
우리를 통해 이런 작은 현장의 목소리가 더 많은 이들에게 전달되기를 바란다.
이 기록들이 누군가의 농사, 생활, 기후 대응에 작은 참고가 될 수 있기를 진심으로 희망한다.
'기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천 호수의 수위가 낮아진 이유는 단순 가뭄이 아니다 (0) | 2025.07.06 |
---|---|
무안 양파농가의 말라버린 논밭, 이상기후가 원인일까? (0) | 2025.07.06 |
강릉의 바닷가 쓰레기 문제, 바람과 기후가 만든 변화들 (0) | 2025.07.06 |
김해 지역 농부들이 말하는 이상기후 – 인터뷰 콘텐츠 (0) | 2025.07.05 |
도시 열섬 현상 원인과 친환경 도시 설계로의 해법 (0) | 2025.07.05 |
제주의 봄은 언제부터 더워졌을까? – 현지 농가 인터뷰 기록 (1) | 2025.07.05 |
북극이 녹고 있다 – 한대 지역 기후 위기의 진실 (0) | 2025.07.05 |
속초 바닷바람이 예전 같지 않은 이유 – 기후 변화 때문일까? (0) | 2025.07.05 |